NSIS, 윈도우용 설치 시스템

NSIS Nullsoft Scriptable Install System. 스크립트 기반으로 동작하는 Windows 설치 프로그램을 만드는 오픈소스 시스템. 인스톨실드와 같은 상용 제품들을 널리 대체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. (= 윈도우용 설치 프로그램을 만들어주는 프로그램.) 공식사이트 :  http://nsis.sourceforge.net/Main_Page * HM NIS Edit : A Free NSIS Editor/IDE. 사람들이 제일 쓸만한 거라고 한다. 다른건 딱히 안보이므로 다운받아서 쓰도록 한다. 1. 라이센스 zlib 라이선스인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 결합한 자유 소프트웨어. (출처 : 위키백과 ) NSIS는 완전 Free라서 다운 받아서 쓰고, 상용화 하는 것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한다. HM NIS Edit는 무료고, 맘에 들어서 개발자에게 Donation 할 수도 있다. 2. 설치 NSIS 다운로드 링크 :  http://nsis.sourceforge.net/Download HM NIS Edit 다운로드 링크 :  http://hmne.sourceforge.net/ HM NIS Edit 설치 중 에러 발생. 뭔지 몰라서 일단 무시하고 설치해본다. 무시하고 설치하니까 일사천리로 잘 된다. 해당 폴더에 가보니까 그 파일이 없어서 생긴 문제같은데, (.lng)파일은 언어파일이고, 내가 쓸 일 없는 언어인 것 같으므로 무시하고 써보도록 한다. 문제가 생기면 그때 생각해야지. NSIS를 설치하면 폴더 내에 'NSIS' 실행파일과 'makensisw' 실행파일 두개가 생성된다. makensisw 는 바로 컴파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고, NSIS 에 들어가면 각종 매뉴얼, 설명서, 업데이트 등등 NSIS 사용에 도움되는 다양한 링크가 있다. 3. 관련 문법 NSIS 스크립트는 한 줄에 하나의 명령어를 쓰도록 되어있다. C에서 세미콜론(;)으로 구분하는...

Python Study -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



Python Study

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




리스트


      대괄호('[ ]')를 이용해서 감싸고, 그 안에 요소들을 나열하며 ','를 통해 구분한다. 

  • 데이터 삽입 - append(), insert()

  append()를 사용할 경우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에 요소가 추가되고, insert()를 사용할 경우 리스트 내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.  insert() 함수의 첫 번째 인자로 추가하고 싶은 위치의 요소번호를 적어주고, 뒤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.

  [ex] list1.insert(1, "Hello")

  • 데이터 삭제 - del(), remove()

  특정 요소의 위치를 알고 있을 때는 del()을 이용하고, 위치는 모르고 값만 알고 있을 때는 remove()를 사용한다.

  [ex] del list1[1]
        list1.remove("Hello")

  • 데이터 정렬 - sort(), reverse()

  순차정렬은 변수명.sort(), 역순정렬은 변수이름.reverse()로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.

  • 데이터 위치 찾기 - index()

  index() 함수는 특정 데이터가 들어있는 요소의 번호를 알려준다.

  [ex] list1.index("Hello")
          -> 'Hello'라는 데이터가 들어있는 list1의 인덱스를 알려준다.

  • 리스트 안의 리스트

  리스트 내에 리스트를 넣을 수 있고, 값을 조회하려면 이중배열처럼 대괄호를 하나 더 사용하여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. 

  [ex] >> foods = ['볶음밥', '김치', ['치킨', '피자'], '떡볶이']
        >> foods[2][0] 

  • 리스트 내부 요소 개수 확인 - len()

  len(리스트 명)을 사용하면 리스트 내부에 요소가 몇 개 들어있는지 알려준다.

  [ex] len(list1)



튜플


      소괄호('( )')를 이용해서 감싸고, 그 안에 요소들을 나열하며 ','를 통해 구분한다. 리스트형과 달리 요소를 추가, 변경, 삭제할 수 없다(생성 후 내용 변경 불가능). 이 외에는 리스트와 성질이 같다.


  • 튜플의 쓸모는?

  생각 중



딕셔너리


      map 유형이라고도 하며, Key와 그에 대응하는 Value값이 짝지어져 있다. 중괄호('{ }')를 이용하여 감싼다. 리스트형보다 관리하기가 쉽고 아주 많이 사용된다. 

  [ex] cutelee = { 'name' : 'soyoung'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'hobby' : 'sleeping'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'food' : 'chicken'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'fruit' : 'orange' }

  keys(), values()를 사용하면 딕셔너리에 들어있는 key와 value를 조회할 수 있다. 'in'을 사용하면 딕셔너리 안에 키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.






** 귀찮아서 점점 내용이 줄어든 건 절대(..)

댓글

  1. 리스트 전체 출력 C++과의 다른점은 없나여 ~_ ~ 그런점 위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아여 !

    답글삭제
    답글
    1. 앗..!! 생각도 못했네요..!! 고맙습니다~! 다시공부 *_*

      삭제

댓글 쓰기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버전관리시스템, git의 기본적인 사용법

QT, GUI 개발에 사용되는 프레임워크

Django란 무엇인가, 설치하기까지